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절두산 성지에 가다

2024-물빛훈장의 여행

by 물빛훈장 2024. 12. 24. 19:30

본문

절두산 성지에 가다

촬영일자 : 20241224

촬영장소 : 서울특별시 마포구 토정로 6

 

切頭山

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양화진에 위치한 한강변 언덕.

한국 천주교의 대표적인 순교성지다.

본래는 산의 모양이 누에가 머리를 치켜든 것 같다고 해서

잠두봉이란 이름으로 불렸으며,

경치 좋은 한강의 명승지중 하나였다.

조선의 천주교 박해 과정에서 이 봉우리의 이름이 달라졌다.

1866년에 벌어진 병인박해 당시

잠두봉에서 무려 8000여 명의 천주교

신자들이 참수형으로 목이 잘리고 시신은

한강에 던져지는 집단 처형이 벌어진 후

머리가 잘린 산이라는 뜻인 절두산(切頭山)이라고 불리게 되었다.

1956년에 천주교 서울대교구에서 땅을 매입하여

순교 성지 성역화 사업에 나섰고

1967년 순교성지 기념성당과 박물관 건물을 완공했다.

성지 내 마당에 한국 천주교 최초의 사제인

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의 동상이 있다.

1984년에 방한한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이

김포국제공항을 통해 대한민국 땅을 밟은 뒤

공식 일정 중 처음으로 방문한 곳이 이 성지인데

당시 기념성당 지하의 경당(성인 유해 안치실)에서 기도와 분향을 하고 갔다.

현재는 기념성당을 비롯해 순교박물관 등

각종 시설이 잘 마련돼 있어 전국의 신자들이

자주 찾는 유명 순례지로 잘 알려져 있다.

절두산 성지 일대는 1997년 서울 양화나루와 잠두봉 유적이라는

명칭으로 사적 제399호로 지정됐다.

양화진 외국인선교사묘원

양화진외국인선교사묘원에는 복음의 씨앗으로

이 땅에서 헌신한 선교사님들이 안장되어 있습니다.

그분들의 삶은, 선교 200주년을 향해 나아가고 있는

한국교회의 소중한 자산이자 밑거름으로 우리에게 깊은 감동과 깨달음을 준다.

또한 이곳 양화진묘원은 한민족의 지난했던

근대사를 반추해 볼 수 있는 사색의 공간이기도 합니다.

고종 이후 대한민국의 종교계,

언론계, 교육계 등에 공헌한 외국인 인사 500여 명의 묘가 있다.

'2024-물빛훈장의 여행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서울빛초롱축제 ( SEOUL LANTERN)  (0) 2024.12.28
파주 장릉(坡州 長陵)  (0) 2024.12.28
애기봉 평화생태공원  (2) 2024.12.21
징글벨 (아코디언 연주)  (0) 2024.12.19
훙국사에 가다  (7) 2024.12.14

관련글 더보기

댓글 영역